본문 바로가기

교육 정보/우리말 맞춤법

바람 쐬다 쐐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스파클링 동키입니다. 우리나라 말에는 은근히 헷갈리는 맞춤법이 정말 많은데요.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쉽게 착각하는 맞춤법이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사람들이 자주 헷갈려 하는 바람을 쐬다 쐐  어떤 것이 올바른 맞춤법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음은 비슷하지만 의미는 전혀 다른데요. 쐬다와 쐐다의 사전적 의미를 한번 살펴볼까요?

 

[쐬다]

1. 얼굴이나 몸에 바람이나 연기, 햇빛 따위를 직접 받다.

2. 자기 물건을 평가받기 위하여 남에게 보이다.

 

[쐐다]

‘쌔다’의 방언 (전북)

 

정답은 바람을 쐬다가 맞습니다.

 

예시

 

에어컨 바람을 많이 쐬서 감기에 걸렸다. (O)

에어컨 바람을 많이 쐐서 감기에 걸렸다. (X)

 

 

 

 

그런데 예외인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 나가서 바람 좀 쐐 " 이 경우에는 쐬가 아닌 쐐가 맞습니다. 이유는 여기서 쐐는 '쐐다' 의 의미가 아닌 '쐬다'의 활용형인 준말로 쓰이기 때문인데요. '쐬'에 연결어미 -어가 붙어 만들어진 줄임말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바람 좀 쐐' 가 맞는 표현이 되겠습니다. 

 

' 쐬다 + -어 + 쐐 '

 이렇게 되는것입니다. 헷갈리시면 쐐가 들어가는 자리에 쐬어를 넣어 보았을때 문맥이 자연스럽게 연결이 된다면 '쐐'로 표기하면 됩니다.

 

' 나가서 바람 좀 쐬 ' (X)

' 나가서 바람 좀 쐐 ' (O)

 

도움이 되셨나요?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